본문 바로가기

722-logi-논리학-[내부연구용]

감각내용과 상응하는 관념의 성격


[iad]
감각내용과 상응하는 관념의 성격
07fl--722-LOGI/감각내용과-상응하는-관념의-성격.txt
http://academy007.tistory.com/140
http://academy007.tistory.com/entry/감각내용과-상응하는-관념의-성격






◆vtxo7983
◈Lab value 2011/07/16/토/09:32  ◈Lab value 불기2559/03/28/토/10:27


● 감각내용과 상응하는 관념의 성격

- 개념이 감각내용에 상응되었다고 하는 상태에 대하여


눈으로 어떤 사물을 바라본다고 하자.

예를 들어 그것이 꽃이라고 하자.


[IMG2-09] [그림] 꽃 08pfl--image/꽃의핌과생멸.jpg

- 참고 - 그림에 약간 특수한 장치를 하였다 .원 부분을 클릭하면 위 사진이 원래 제시된 페이지로 옮겨 간다. 잡아함경해설 http://buddhism007.tistory.com/228


이 때, 여기에 대해서 누군가 진리를 파악한다고 하면

다음과 같은 판단이 그런 판단의 처음이라고 보게 될 것이다.



즉 '이것은 꽃이다.' 라는 식의 판단이 처음 하게 되는 판단이 된다.


이는 "이 일정한 부분은 '꽃' 이다"라고 판단하고 말한 것이다.

그런데 이 부분이라는 것은
감각한 내용의 일부분을 가리키고 있고

그 일부분은 '꽃'이다라고 말할 때
왜 이런 판단이 옳은 것이 되는가?


우선 '그 일부분'과 '꽃'과의 관계에서 대조를 해 볼 때

이 둘이 상응 일치하기 때문에
그것이 옳다고 생각하는 입장이 있을 수 있다.



우선 일부분과 '꽃이란 관념'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즉 감각한 내용과 관념(개념)내용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여기서 '꽃이란 관념'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말한다. 
눈을 감아 꽃의 모습이 보이지 않아도 
꽃에 대한 생각을 할 수 있다. 
이제 이것을 꽃의 관념으로 놓을 때 
그 안에는 눈을 떠 볼 수 있는 꽃의 모습[감각내용]은 
얻어지지 않는 것이다. 

즉 감각내용과 관념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이다. 
아주 적은 부분이라도 감각내용과 일치한 내용이 얻어진다면,
그 부분은 서로 같고 
나머지 부분은 다르기에
이 둘이 엇비슷하다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런 것도 아니다.  

그렇지만 꽃에 대한 관념은 꽃의 감각내용과 
무언가 엇비슷한 내용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마치 꽃을 보고 마음 속에서 
꽃의 형체를 대강 선으로 그리는 경우처럼 
이 둘이 비슷한 것이 아닌가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앞과 같이 문제를 따지면 
그것은 서로 일치한 내용이 없기에
다시 모호한 관계가 된다. 

그렇지만, 여하튼 일상생활에서 상식적으로
꽃의 모습에 대해
꽃의 관념은 서로 상응 일치된다는 식으로
종종 표현하게 된다. 


그런데 어떤 감각내용과 관념들 사이에서 
이들이 서로 적절하게 상응된 것인가가 문제되는 경우가 
대단히 많다. 

장미꽃을 보고 이것이 개나리라고 누군가 말한다면 
누구의 말이 옳은가가 문제되는 경우와 사정이 같다. 

그래서 감각내용과 관념은 서로 어떤 상태에 있을 때 
이 들이 서로 상응된다거나 또는 서로 일치한다라고 할 수 있는가가 문제된다.


예를 들어 꽃을 놓고 보자.

이 꽃을 본다고 할 때
이것은 '꽃'이다 라고 말해도된다.
또 '식물' '물체'라고 말해도 된다.


그러나 이것을 보고 '돼지'다
또는 '동물' '운동' 이라고 말하면
잘못이라고 누구나 상식적으로 알게 된다.

그러나 위 여러 표현 가운데
'그것(감각한 내용)'과

꽃, 식물, 물체는 옳은 개념- 상응한 개념 - 으로 보게 되지만,

왜 돼지, 동물, 운동 이라는 개념과는 상응하지 않은 것으로 보는가가
가장 기초적으로 문제된다.


이 문제도 다른 문제와 성격이 비슷하다 .

즉 왜 그렇게 틀리다 맞다를 구분하게 되는지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지는 못하지만,

그러나 사실은 대부분 상식적인 사람들이
그것은 옳고 다른 것은 틀리다는 판단을 잘 한다.


여기서는 어떤 개념이
어떤 내용과 관련하여 그것이 서로 상응 일치되고
옳다고 말하게 되는 지 

그 근거와 이유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감각내용과 개념과의 관계를 살피고자 할 때
먼저 제외해야 할 내용이 있다. 


- 우선 저 꽃 사진은 그와 관련되는 것이 많다. 

- 이미 다른 부분에서 반복해 밝힌 것처럼,
꽃이라는 말과도 관련되고,
꽃이라는 관념과도 관련되고 

그런 것들을 갖게 만드는 꽃의 실재내용과도 관련되고
이런 꽃에 영원불변하고 고정된 어떤 꽃이 있는가를 따질 때 

꽃의 본체, 실체 등과도 관련된다. 


- 여기서는 감각내용의 꽃으로서 하나의 사진을 제시한 것으로 보면 된다. 

- 그 다음 여기에 대해 갖는 관념과의 관계를 살피는 것이다. 

여기서 관념 또는 개념이란
그냥 눈을 감고 떠올리는 앞의 꽃과 관련된 무엇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런데 우선 이 관련성을 감각내용과 완전히 동일한 개념내용이 그런 관계다 라고 보는 경우가 있다. 

- 그런데 사실 눈을 감거나 장소를 옮기거나 할 때
개념만으로 앞의 꽃의 영상[감각내용] 그대로를 자신이 얻을 수 있는가.
그렇지 않다.
그래서 일치성이란 여기에서 내세우기 곤란해진다. 



○ 인과관계로 인한 상응 문제 

한편, 이 감각내용과 관념내용이
서로 원인 결과 관계에 있기 때문에,
이처럼 두 내용이 원인 - 결과 관계로 관련되면
그것이 그 둘사이를 연결시키고 서로 상응한 내용으로 만드는 관계가 된다고 보는 입장을 생각할 수 있다. 


이는 간단히 말하면,
그 관념내용이 감각내용과 원인~ 결과 관계로 나타나는 것이므로
바로 그런 관계로 이 둘을 상응하는 내용이라고 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자세히 생각하면,
꽃을 보고 원인-결과 관계로 생각해내는 내용은
반드시 그런 것만은 아니다. 


사람따라 상황따라
꽃 하나를 보고도 무수히 많은 내용을 생각해 낼 수 있다. 


그런데 그렇게 원인-결과관계로 이어져 생각나는 모든 내용이
다 적절하다거나 상응한다고 볼 수 있는 관계는 아니다. 


꽃에서 여인을 떠올리거나,
은행을 생각하거나, 등등
자유롭게 연상되는 내용은 

사실은 다 원인~결과 관계를 갖고
감각내용을 기초로 해서 새로 얻을 수 있는내용들이다. 



그래서 이 둘에서 위에 나열한 관계성 외에
어떤관계를 가져야
이 둘이 서로 상응되고 옳은 것이라고 보게 되는가?


그 요소는 무엇인가가 문제된다고 할 것이다. 









문서정보 ori http://academy007.tistory.com/140#7983
07fl--722-LOGI/감각내용과-상응하는-관념의-성격.txt ☞◆vtxo7983
 




● 불의 정체를 밝히는 실험이 조금 도움된다고 본다. 


08pfl--image/불의정체-실험.jpg
[img2-15] http://buddhism007.tistory.com/691 ☞● 불의 정체의 실험
08pfl--image/불의정체-실험.jpg
해당부분으로 바로 가려면 불을 클릭하십시오

 




지옥간 마술사 언어학자 little 님에 대한 노래로 생각하고 
다음 곡을 올립니다. 










○ [pt op tr] mus0fl--France Gall - Les sucettes.lrc



















Ш[ 관련 문서 인용 부분 ]Ш
ㅹ[ 코멘트 등 정리 내역]ㅹ

Ω♠문서정보♠Ω
™[작성자]™ Tok kum
◑[작성일]◐ 2011/07/16/토/09:32 

♨[수정내역]♨ Lab value 2015/03/28/토/10:26
▩[ 디스크 ]▩ [DISK] 07fl--722-LOGI/감각내용과-상응하는-관념의-성격.txt ♠
ж[ 웹 ]ж [web] http://academy007.tistory.com/140 ♠
⇔[ 관련문서]⇔
{!-- 관련 문서 링크--}
인터넷상의 목록 http://academy007.tistory.com/224
디스크상의 목록 ●논리학 07fl--722-LOGI/LOGI-catalog.htm

'722-logi-논리학-[내부연구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류법  (2) 2015.03.28
감각내용과 개념과의 관계  (0) 2011.07.16
쌍칼 공격에 대응한 쌍창 공격법  (0) 2011.07.11
아침의 논리공부  (0) 2011.07.10
####금지와 개념-2  (1) 2011.06.23